a

996제…120시간…과로에 짓눌리는 한중일 노동자들 > 공지/문의게시판

공지/문의게시판

HOME > 공지/문의게시판 > 공지/문의게시판

996제…120시간…과로에 짓눌리는 한중일 노동자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어잘해요 작성일22-01-31 02:37 조회119회 댓글0건

본문

장시간 노동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일반적인 현상처럼 보인다. 옥스퍼드 사전에도 등록됐다는 ‘과로사’(가로시)라는 개념 자체가 일본에서 만들어졌다. 지난해 발간된 <일본 과로사 방지 백서>를 보면 2019년 파트타이머 포함 전체 노동자의 연간 노동시간은 1644시간, 풀타임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은 연 1978시간이었다. 그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연간 노동시간은 1726시간이었다. 일본에서도 과로사 방지법이 제정되는 등 다양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 후생노동성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일본 내 이주노동자들의 과로 사망률은 일본 국적자의 두배 이상이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노동권을 가진 이들이 장시간 노동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현상은 대만과 홍콩 등 동아시아 내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난다. 얼마 전 출간한 <과로의 섬>(황이링·까오요우즈 지음, 장향미 옮김)을 보면, 2018년 대만의 연간 노동시간은 2135시간을 기록했다. 이 책은 취약 노동자들과 청년 세대에게 노동강도가 심화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홍콩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홍콩특별행정자치구 입법회 보고서를 보면, 2018년 홍콩의 주간 노동시간은 한국이나 일본 같은 악명 높은 ‘과로 국가’들보다 길고, 특히 숙련도가 낮은 저임금 노동자들에게서 심하다.

이는 우리에게도 익숙한 현실이다. 무엇보다 한국은 전세계에서 노동시간이 긴 나라로 악명이 높다. 2019년 오이시디 통계를 보면,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은 35개국 평균보다 334시간이 많은 2060시간을 기록했다. 장시간 노동은 죽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2014년 분당서울대병원 뇌신경센터가 한국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뇌출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9~12시간 일하는 노동자는 하루 평균 4시간 미만으로 일하는 사람보다 뇌출혈 발생 위험이 38%, 13시간 이상 일하는 사람은 94% 증가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노동기구(ILO)가 발표한 연구보고서를 보면, 2016년 한해 우리나라에서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뇌심혈관계 질환 사망자는 최소 2610명이었다. 업무나 직업요인에 의한 자살도 연 400~5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장시간 노동은 심혈관질환과 뇌혈관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발해 돌연사와 과로 자살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공장 기숙사에서 뛰어내린 열일곱 중국 노동자의 죽음 역시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동아시아 국가들에서 장시간 노동이 만연한 것은 무엇 때문일까? 많은 사람들이 유교 문화를 그 원인으로 지목한다. ‘가족적인 회사 문화’가 낳은 봉건적이고 권위주의적 노동 통제가 높은 노동강도와 장시간 노동을 야기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설상가상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이 심화된 외환위기 이후 우리의 일터는 실적을 강조하는 문화와 절대적 인원 부족, 과도한 업무량으로 점철되어 있다. 10명이 해야 할 일을 7명이 하고 둘이 하던 일을 혼자 하다 보니 노동강도는 높아지고 자발적 과로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과로사회 중국’ 때리던 한국 언론

국내 과로사 이슈에는 조용한 ‘모순’

최근 동아시아 각국 노동자들은 이런 현실에 맞서 소극적인 저항을 펼쳐왔다. 2019년 봄 중국 아이티(IT)기업 노동자들은 996제(아침 9시에 출근해 밤 9시에 퇴근하는 일과를 주 6일간 지속하는 관행)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펼쳤다.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호응하자, 자본과 정부가 반응했다. 마윈 같은 자본가들은 996제를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이후 과로사 문제가 연달아 공중의 화두에 올랐고, 중국 정부 역시 적극 대처하겠다는 모양새를 취해야 했다.

지난 6월14일 텐센트그룹 산하 게임개발사는 직원들에게 수요일 저녁 6시 강제퇴근과 연장 근무 시 밤 9시를 넘길 수 없다는 지침을 발표했다. 이러한 조치는 다른 아이티기업들에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물론 이는 기업의 자발적 조치가 아니다. 이대로 뒀다간 불만이 폭발할 것이라 감지한 정치권력이 브레이크를 걸었기 때문이다.

한데 이 대목에서 우리나라의 보수언론과 정치권이 중국을 보는 시각에 의구심이 생긴다. 예컨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초대 위원장 장병규는 2019년 10월 몇차례에 걸쳐 중국 빅테크의 장시간 노동 사례를 소개하며 아이티업계에 주 52시간 상한제를 적용해선 안 된다고 발언했다. 그런데 중국에서 한창 996제 반대 캠페인과 과로사 이슈가 불거질 때 열띠게 보도하던 언론들은 노동시간 감축과 중대재해기업처벌법 등 국내 이슈에 있어선 철저히 반대편에 섰다. 하나같이 자본에 유리할 땐 배우자고 하고, 불리할 땐 남 일 취급이다. 최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주 120시간’ 발언 역시 이런 노동 배제적 시각이 낳은 해프닝이다.


전문
http://naver.me/GLKd8IU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한길 244번길 52-12
서프홀릭 포항
대표자 : 김준호
사업자등록번호 : 506-21-48905
대표전화 : 054-255-7052
직통전화 :010-3808-1233

Copyright ⓒ ph.nblock.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