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30년까지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현재의 두 배 수준인 1만2,000개로 늘린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뱅크 작성일25-09-18 03:06 조회0회 댓글0건본문
<a href="https://thr-law.co.kr/daejeon_estate" target="_blank" rel="noopener" title="대전상속변호사" class="seo-link good-link">대전상속변호사</a> 로 장애인 대상 암 조기 검진을 지원하고, 이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시내·마을버스를 모두 저상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서울에 사는 38만5,000여 명 장애인을 지원하는 5개 년 종합 계획이다. 이 계획은 △든든한 일자리와 소득 △편안한 주거와 돌봄 △자유로운 이동권과 접근권 △존중받는 인권과 여가 등 4대 분야 12개 과제로 구성된다. 총 2조 원 예산이 투입된다.
연간 5,000여 개 수준인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2030년 1만 2,000개까지 차례차례 늘린다. 2030년까지 발달·뇌병변 등 중증 특화 장애인 전문 직업학교를 신설하고, 서울시 기술교육원에 장애인 특화 과정을 만들어 직업훈련을 돕는다. 장애인이 필요한 분야를 골라 쓸 수 있는 '서울형 개인 예산제' 대상은 기존 100명에서 2030년까지 누적 2,600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건강 관련 지원도 한층 두터워진다. 전국 최초로 실시하는 '서울형 장애인암(위암·대장암) 조기검진'이 대표적이다. 건강검진을 받기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것을 줄이려는 것이다.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 내 만 9세 미만 장애 아동 2,000명에게는 2027년부터 연간 100만 원 의료비도 지원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서울에 사는 38만5,000여 명 장애인을 지원하는 5개 년 종합 계획이다. 이 계획은 △든든한 일자리와 소득 △편안한 주거와 돌봄 △자유로운 이동권과 접근권 △존중받는 인권과 여가 등 4대 분야 12개 과제로 구성된다. 총 2조 원 예산이 투입된다.
연간 5,000여 개 수준인 장애인 공공 일자리를 2030년 1만 2,000개까지 차례차례 늘린다. 2030년까지 발달·뇌병변 등 중증 특화 장애인 전문 직업학교를 신설하고, 서울시 기술교육원에 장애인 특화 과정을 만들어 직업훈련을 돕는다. 장애인이 필요한 분야를 골라 쓸 수 있는 '서울형 개인 예산제' 대상은 기존 100명에서 2030년까지 누적 2,600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건강 관련 지원도 한층 두터워진다. 전국 최초로 실시하는 '서울형 장애인암(위암·대장암) 조기검진'이 대표적이다. 건강검진을 받기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것을 줄이려는 것이다.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 내 만 9세 미만 장애 아동 2,000명에게는 2027년부터 연간 100만 원 의료비도 지원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